동네방네 김형규 기자 | 경상남도는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행정안전부 대전센터)에서 발생한 화재와 관련해 지난 26일 23시 30분 행안부 주재 전국 비상대책회의에 참석하고 행정정보시스템 피해 여부를 점검했다.
경남도 내부 점검 결과, 경남도 대표 누리집은 NHN 공공클라우드존에서 운영되고 있어 이번 화재로 인한 직접 피해는 없다. 그러나 우체국 금융, 우편, 정부24, 국민신문고, 모바일 신분증 등 대국민서비스와 공직자 통합메일, 온나라 메일·영상회의, 정부공인인증서(GPKI) 등 내부행정서비스는 전국적으로 접속이 중단된 상태다.
이번 화재는 무정전전원장치(UPS) 내 리튬이온배터리 발화가 원인이었다. 통상적으로 리튬이온배터리는 불이 나면 꺼지기 어렵고, 화학반응이 끝날 때까지 연소가 지속돼 진화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 또한 이번 화재에서는 배터리와 서버의 간격이 넓지 않아 진화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한다.
경남도청 내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는 납산배터리를 이용하고 있어 발화 가능성이 적고 안정적이며, 통합데이터센터는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실과 별도로 분리돼 있어 안전하다.
경남도는 18개 시군에 자체 점검을 요청해 정보시스템 및 UPS 현황 자료를 받아 현장 실태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시군에는 도가 직접 방문 및 합동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경남도는 도·시군 누리집과 도 SNS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따른 정부24 서비스 중단 및 대체 방안을 공지했다. 실·국별 시스템 영향과 대처방안을 조사한 결과, 대도민 서비스와 관련된 주요 시스템 중 복지서비스 종합 포털 ‘복지로’와 사회보장 정보시스템 ‘행복이음’은 해당 누리집을 통해 관할 시군별 수기 신청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
온라인 화장예약시스템인 ‘e하늘장사시스템’도 접속 불가로 시군별 수기 접수 처리를 하고 있으며, 응급환자 발생 시 병원 응급실에 경광등이 켜지도록 하는 ‘119구급스마트시스템’ 서비스 장애로 구급대원이 전화로 병원에 이송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경남도는 28일 행정부지사 주재로 오전에는 실·국·본부장 회의를, 오후에는 시군 부단체장 회의를 개최해 세부 피해 상황과 대처방안을 점검하고, 대도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주요 정보시스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대체 방안을 적극 안내한다.
경상남도 관계자는 “현재 중앙부처 및 시군과 협력해 피해상황 등을 점검 중이다.”며 “도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단된 서비스를 파악하고 대체 수단을 도민들에게 신속하게 안내하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