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방네 김형규 기자 | 지방대학교 중에서는 처음으로 조선대학교 출신의 6‧25참전 호국영웅 54명의 이름이 새겨진 명비가 제막된다.
국가보훈부는 19일 오전,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조선대학교 내 백일홍 동산에서 권오을 장관을 비롯한 김이수 조선대 이사장, 김영문 광주광역시 문화경제부시장, 안도걸 국회의원, 김춘성 조선대 총장, 재학생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조선대 6·25참전 호국영웅 명비’ 제막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제막식은 경과보고, 명비 제막, 롤콜 및 헌화, 기념사, 인사 말씀, 명예로운 동문패‧감사패 전달, 헌정 공연, 기념촬영 순으로 진행된다.
특히, 롤콜 및 헌화는 각인대상자 54명 중 현재 생존해 있는 5명을 제외한 49명을 후배 재학생들이 한 명씩 호명하면 주요 내빈과 재학생들이 헌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행사에는 6·25전쟁에 참전하고 무장간첩과 교전 중 산화하여 1968년 을지무공훈장을 추서받은 조선대학교 법학부 출신 고(故) 소병민 중령의 유족도 함께하며, 이날 조선대학교 총동창회 부회장이 대표로 고(故) 소병민 중령 유족에게 ‘명예로운 동문패’를 전달할 예정이다.
조선대학교 6‧25참전 호국영웅 명비는 조선대 출신 6‧25참전 호국영웅 54명의 이름과 함께 건립 취지문 등도 새겨져 있으며, 조선대학교 본관 건물의 모양으로 디자인됐다.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은 “조선대학교 출신 호국영웅 쉰네 분의 이름을 새긴 명비가 조선대학교 후배 학생들이 선배들의 숭고한 희생과 헌신을 기억‧계승하고, 일상에서 보훈의 의미와 가치를 느끼고 실천하는 상징물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춘성 조선대학교 총장은 “조국을 위해 헌신하신 선배들의 이름이 모교 캠퍼스에 새겨진 것은 대학의 큰 영예”라며, “이번 명비가 학생들에게 자유와 평화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미래세대를 향한 보훈문화 확산의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국가보훈부는 지난 2016년부터 각급 학교와 지자체 협력을 통해 6·25참전 호국영웅 명비 건립을 추진, 연세대학교와 조선대학교 등 2곳을 포함하여 현재까지 총 92개소에 건립을 완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