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네방네 김형규 기자 | 광주광역시의회 박수기 의원(광산구5)은 11일 통합공항교통국 행정사무감사에서 광주시의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 재건의’ 추진에 대해 “정책의 진정성과 실효성을 모두 의심케 하는 행정”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박 의원은 “국토교통부가 불허 입장을 이미 명확히 밝힌 상황에서 근본적 여건 변화 없이 같은 사안을 반복 제기하는 것은 행정의 신뢰를 스스로 훼손한 것”이라며 어렵사리 마련된 군공항 이전 여론 “군공항 이전 TF 가동을 앞둔 시점에서의 임시취항 추진은 전남도와 무안군과의 신뢰를 흔드는 조급한 판단”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광주공항의 국제선 기능은 이미 2008년 무안국제공항으로 이관된 후로 18년이 지났고, 서남권 거점공항으로 무안공안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광주 전남 시도민의 기대와 염원을 생각해야 한다”며 “임시취항 추진은 시민 불편 해소라는 명분에도 불구하고 통합공항 이전의 신뢰 기반을 스스로 허무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박수기 의원은 또 “무엇보다 지금 필요한 것은 보여주기식 행정이 아니라 무안국제공항의 조기 정상화를 위한 정부 차원의 실질적 조치와 협력 체계 구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8개월이 지났지만 정부의 진상 규명과 피해 회복, 항행안전시설 개선 등 후속조치가 여전히 미진하다”며 “광주시가 지역 상생의 관점에서 무안공항의 안전 정상화와 재개항 로드맵 마련을 국토부에 적극 촉구했어야 했다”고 말했다.
또한 “지역 관광업계 등 관련 분야의 피해 회복을 위한 진정성 있는 정책이라면, 즉시 시행 가능한 현실적 대안들을 촘촘하게 준비하고 중앙정부에 요구했어야 한다”며, ▲타 공항 연계 교통편 증편 ▲환승비 및 교통비 지원 ▲관광업계 긴급 운영자금 및 고용유지 지원 ▲중앙정부 특별교부세를 통한 관광·물류 인프라 회복 지원 등을 구체적으로 제안했다.
끝으로 박수기 의원은 “통합공항 논의와 국제선 공항 정상화 문제는 정치적 이해 득실이 아니라 시민의 실익으로 평가받아야 한다”며, “군공항 이전과 민간공항 통합이라는 국가적 과제의 대원칙을 지키고, 무안공항 정상화 및 광주·전남 상생 신뢰 회복을 위한 공동 대책 마련에 시정의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