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네방네 김형규 기자 | 영덕군은 김광열 군수의 주재로 지난 23일 청사 대회의실에서 ‘2026년도 전략과제 발굴을 위한 주요 업무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보고회는 기존의 ‘예산편성 업무보고회’를 탈피하여 내년 군정 운영의 방향성과 중점 과제를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선제적 설정으로 전략적이고 미래지향적으로 전환해 이뤄졌다.
회의 내용에는 현 정부의 지역공약, 그리고 123개 국정과제와의 연계사업 발굴, 민선 8기 공약 이행 점검, 지역 실정에 맞는 신규사업 제안 등과 함께, 지난 3월 말 경북산불의 피해 복구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 마련이 핵심 의제로 다뤄졌다.
이에 각 부서는 군민 체감도가 높은 실행 가능한 전략과제를 도출하는 데 주력하고, 특히 산불 피해지역의 신속한 복구와 재생을 통해 지역 경제와 주민 삶의 질을 회복하는 데 더욱 집중키로 했다.
이어, 김 군수는 앞으로 정부나 경상북도와의 연계사업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한 사전 준비 단계로서 보고회의 방향성을 전환해 보다 깊이 있고 전문성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산불 발생에 따른 직원들의 노고와 2년 연속 전국 일자리대상 수상, 국도비 사업 예산 확보, 고향사랑 기부금 모금액 전국 1위 달성 등에 대해 치하하고, 포항~영덕간 고속도로 개통과 더불어 변화는 지역의 개발여건을 반영한 분야별 대응계획 수립을 주문했다.
그 결과 영덕군은 고령화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 구축을 위해 △그린에너지 프로젝트 △웰니스 중심도시 프로젝트 △전국 최대 수산물 클러스터 조성 등의 ‘미래 도약 3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군정 전반을 이끌 것을 결의했다.
이를 통해 영덕군 민선 8기는 ‘희망을 실현하는 농산어촌의 대표 모델’로 자리매김해 100년 미래를 준비해 나간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밖에 이번 보고회에선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된 국가지질공원 생태탐방로 조성 △농촌 공간 재구조화 사업 △국립 송이버섯 복원연구소 유치 △산림경영 특구 조성 △산불 피해지역 복구·재생 사업 △국립 보훈요양원 유치 등과 같은 사업이 중점적으로 논의됐으며, 각 사업의 필요성과 실행 방안에 대해 검토 과정을 거쳤다.
김광열 영덕군수는 “지금은 우리 군의 미래 도약을 위해 매우 중요한 시기”라며, “급변하는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기획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 군수는 “이번 보고회를 통해 지역발전을 견인할 핵심 사업들을 적극 발굴하고 산불 피해를 완전히 극복하는 신호탄으로 삼겠다”며, “위기는 언제나 우리의 삶을 위협했었고 도전에는 늘 두려움이 따르지만, 더 나은 영덕을 맞이하기 위해 먼저 움직이지 않으면 죽는다는 마음가짐으로 앞장서 나아가겠다”라고 다짐했다.
